티스토리 뷰
목차

2022년 기준 우리나라 말기 콩팥병 발병률은 인구 백만 명당 360.2명으로, 2010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치입니다. 콩팥병의 주요원인과 투석 환자의 건강관리에 대해 알아봅니다.
콩팥 검사가 필요한 증상 체크리스트
- ✓ 자다가 일어나 소변을 자주 본다
- ✓ 소변이 탁하고 거품이 많이 나타난다
- ✓ 눈 주위나 손발이 부어오른다
- ✓ 혈압이 급격히 상승한다
- ✓ 입맛이 없다
- ✓ 쉽게 피로를 느낀다
- ✓ 몸 전체가 가렵다
콩팥(신장)의 중요한 역할
콩팥(신장)의 주요 역할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내보내고 체내 항상성 유지를 돕는 것입니다. 콩팥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체내 수분량이 일정하게 조절되지 못해 몸이 붓고(부종) 배출돼야 할 노폐물이 혈액 속에 축적되는 '요독증'이 심해집니다.
콩팥병의 주요 원인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 관리
신장 기능이 저하되어 말기신부전에 이르면(신장 기능 10% 미만) 혈액투석·복막투석을 받거나 신장 이식을 받아야 합니다. 이를 신대체요법이라 하며 이중 가장 높은 비율이 혈액투석입니다.
혈액투석은 인공신장기를 통해 혈액의 노폐물을 걸러주는 치료입니다. 혈액투석 시에는 투석을 받는 통로인 '투석혈관'이 매우 중요합니다.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수술로 조성하여 많은 양의 혈액이 오갈 수 있도록 하지만 투석혈관은 영구적으로 쓸 수 없기 때문에 최대한 잘 관리해야 합니다.
전문가 조언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은 인터벤션 치료인 혈관개통술, 스텐트삽입술 등을 통해 다시 사용할 수 있지만 이미 혈관이 많이 막힌 뒤라면 치료가 어려우므로 정기적인 혈관 검진이 중요합니다."
- 민트병원 혈관센터 배재익 대표원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
투석 환자의 식이 관리
- ✓ 지나친 염분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 ✓ 칼륨과 인의 섭취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 ✓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과일과 단백질도 조심해서 섭취해야 합니다
투석 환자의 운동 관리
무리한 운동은 금물입니다. 운동을 심하게 하면 손상된 근육세포에서 칼륨, 인, 단백질 등이 혈액 속에 녹아 들어 콩팥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한 관리법
신장장애를 갖고 있더라도 건강한 식습관, 생활습관을 지키고 투석혈관 관리, 정기검진을 잘 유지한다면 더 나은 일상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